반응형
2003년 1월 25일 SQL_Overflow 웜(슬래머 웜)에 의해 발생한 '1.25 인터넷 대란' 이후 안철수연구소로 이상 네트워크 패킷(이하 이상 패킷)이 발생해 문의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모든 이상 패킷이 웜 등의 악성 코드에 의해 발생하지는 않지만 최근 웜 등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며 네트워크를 통한 공격 기능을 갖게 되면서 악성 코드에 의해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악성 코드에 의한 이상 패킷 증가는 크게 자기 복제를 하면서 네트워크 패킷을 대량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악성 IRC봇(Malicious IRCBot)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공격 기능을 가진 웜, 트로이목마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많은 기업, 학교 등의 전산 관리자는 이상 패킷이 발생하면 이상 패킷이 발생하니 해결해 달라는 문의를 많이 한다.

하지만, 이상 패킷은 악성 코드뿐 아니라 기기 장비, 소프트웨어 충돌 등에서도 발생하며 이상 증세 만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악성 코드에 의해 이상 패킷이 발생 할 때 관리자가 조치 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겠다.

1. 이상 네트워크 패킷 유형

현재 발생하는 이상 패킷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2) 비정상적인 패킷 발생


네트워크 트래픽은 일상적인 컴퓨터 사용 중에도 발생 할 수 있지만 어떤 원인으로 크게 증가하여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 등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로 급속히 전파되는 웜이 사내의 많은 컴퓨터를 감염 시켰을 때 감염된 컴퓨터들이 일제히 메일 발송을 시도한다면 메일 발송 관련 25번 포트의 트래픽이 증가하게 된다. 대량으로 메일을 발송하는 웜, 바이러스로 인해 메일 서버가 다운된 보고는 많이 있다.

이외 평상시에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특정 포트로 트래픽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악성 IRC봇은 IRC 포트(보통 6667번 포트)를 이용해 다른 시스템을 공격하기 위해 대량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 시킬 수 있다.

패킷이 외부로 나가기 위해서는 라우터 등의 장비를 거치므로 사내 망의 많은 컴퓨터가 감염되어 동시에 공격을 위해 트래픽을 발생 시킬 경우 네트워크 관련 장비 등이 과부하로 다운 될 수도 있다. 다운되지 않더라도 불필요한 내용을 처리해야 하므로 전반적인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 진다.

최근에 문제되고 있는 악성 IRC봇 류는 포트 번호, 데이터 양 등을 공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전에는 IRC 포트인 6667번 포트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포트 번호도 임의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1] 다수의 시스템이 특정 IP로 공격하는 화면


2. 관리자가 파악해야 할 내용

네트워크 관리자는 비정상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시 감지 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이상 패킷의 증가만 파악되고 원인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상 패킷 증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문제, 장비 불량 등일 수 있지만 바이러스와 웜 등의 악성 코드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 이상 패킷이 발생하면 백신 업체에 연락하는 경우가 많지만 발생 현상이나 패킷만 가지고 어떤 웜이나 트로이목마 등에서 발생했는지 알기 힘들다. 또한 기술지원 시에도 이상 패킷 발생 자체로는 큰 도움을 줄 수 없으며 관리자가 다음 내용을 파악 후 안철수연구소에 알려줘야 한다.

1) 이상 패킷 내용 파악 (패킷 캡쳐, 발생 시스템 수, 문제 상황 등)
2)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 파악
3)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에서 정보 수집
4)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에서 샘플 수집


이상 패킷이 발생할 경우 패킷 내용을 캡쳐 해 백신 회사로 보내야 한다. 이때 아래와 같이 IP 어드레스나 포트 번호와 같은 간단한 내용으로는 문제를 파악하기 힘들므로 상세한 내용을 캡쳐 해야 한다.

SrcIf SrcIPaddress DstIf DstIPaddress Pr SrcP DstP Pkts
Fa0/0 xx.xx.xxx.xxx Null xx.xxx.xxx.xx 01 0000 0800 1

단, 패킷 만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므로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IP 어드레스(IP Address)와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통해 이상 패킷을 발생하는 시스템을 확인 할 수 있다. 단, IP 어드레스나 맥 어드레스는 위조가 가능하며 보통 IP 어드레스가 위조된다. IP 어드레스가 위조되었을 때는 맥 어드레스로 찾아야 한다. 맥 어드레스는 네트워크 장비를 거치며 바뀌므로 네트워크 장비를 종료해 범위를 좁혀가며 문제의 시스템을 찾아야 한다.

이상 패킷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스템을 찾으면 해당 시스템에서 이상 패킷을 발생하는 원인 프로그램을 찾아 안철수연구소로 분석 의뢰해야 한다. 수상한 파일을 찾기가 어렵다면 패킷 캡쳐 파일과 시스템의 정보를 파악해 주는 안 리포트, 포트 상태를 알려주는 FPort, TCPView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해당 시스템의 정보를 안철수연구소 바이러스 신고 센터로 보내야 한다.

3. 툴 사용법

이상 패킷을 발생하는 시스템에서 이상 패킷을 발생하는 원인 프로세스를 찾는 건 쉬운 일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툴을 사용하면 수상한 파일을 찾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최소한 이들 프로그램의 리포트만 내용만 알려줘도 안철수연구소에서 분석 후 수상한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문제 파일/프로세스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 툴은 다음과 같다.

1) 안리포트 - 시스템의 전반의 정보 파악
2) FPort - 이상 패킷 발생 포트와 프로그램 파악
3) TCPView - 이상 패킷 발생 포트와 트래픽 양, 발생 프로그램 파악


1) 안리포트(AhnReport)

안철수연구소에서 제공하는 안리포트는 사용자의 시스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를 통해 문제 원인과 신종 악성 코드를 추적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안철수연구소 고객지원혹은 기업고객지원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수집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시스템 사양 및 운영체제(OS)
- 설치된 제품 및 파일 목록
- 레지스트리 정보 중 제품 관련 정보
- 백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기록
- 윈도우 부팅 과정에서 참조하는 파일(WIN.INI, SYSTEM.INI) 내용
- 윈도우 부팅 과정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이름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서(실행중인 프로그램) 목록
- Uninstall 정보 등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Ahnreport Download] 버튼을 클릭해 파일을 임의의 폴더에 저장한다.

2. 저장한 Ahnreport.exe 파일을 실행한다. 이때 가급적 불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는 종료해 원인이 되는 프로세스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3. 주의 창이 뜨고 확인을 누르면 시스템에서 수집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2] 안리포트 실행 화면


4. [저장] 혹은 [파일] →[저장]을 선택하면 지원 담당자 정보, 사용자 정보, 상세 사항 등의 내용을 입력하는 창이 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3] 추가 정보 입력 창


5.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관련 정보를 ZIP 파일로 저장하는 창이 뜬다. 적절한 이름의 파일로 저장한다.(예: mypc01.zip)

6. 저장된 내용을 패킷 내용, 기타 정보, 수상한 파일과 함께 바이러스 신고 센터로 신고 한다.

바이러스 신고센터는 [안철수연구소 홈페이지] →[고객지원] →[바이러스신고] 혹은 다음 주소에서 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