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SDOS.SYS 파일의 편집(msdos.sys파일은 C:\ 루트드라이브에 있다.)
다음은 MSDOS.SYS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값들이다. 주의할 점은 MSDOS.SYS 파일은 읽기전용 파일이므로 읽기전용까지 제어되는 에디터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속성을 바꾸어 편집하고 나중에 원래의
속성으로 되돌려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WinDir:
UninstallDir:
HostWinBootDrv: 기본값은 'C'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트 드라이브가 어디인지를 지정한다.
WinBootDir: 기본값은 윈도우 98이 설치된 디렉토리로 지정되어 있으며 윈도우 98이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BootDelay: 윈도우 부팅시 윈도우 스타팅이 뜨면서 약간의 지연이 생기는 것으로 기본값은 2이며
부팅시 사용자가 키를 눌러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다리는 시간이다. 이 시간동안 F8이나 다른
키를 눌러 이전 버전의 도스나 안전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0으로 지정하면 지연없이 지나간다.
여기서 0이나 1 등은 초 단위를 나타낸다.
BootFailDaf: 기본값은 0이며 만약에 안전모드로 부팅해야 할 때 1로 세팅된다.
BootGUI: 기본값은 1이며 시스템이 그래픽모드로 부팅되는가를 나타냄.
BootKeys: 기본값은 1이며 부팅시 F4, F5, F8 등의 키를 사용해 모드를 설정하게 한다. 만약에 0이
세팅되면 BootDelay 옵션에서 설정한 값들이 무시되고 바로 부팅된다.
부팅시 F8키를 눌러도 모드선택 화면이 뜨질 않으면 이 키값을 1로 하던지, 부팅시 우측 Ctrl버튼을 누르
고 있으면 된다.(윈도우 98이상만 가능)
BootMenu: 기본값은 0이며 부팅시 메뉴를 띄우는 역할을 한다. 만약 1로 지정되어 있으면 자동적으로
부팅시 F8을 누른 효과를 가져온다.
BootMenuDefault: 기본값은 네트워크가 설정되어 있다면 4로 지정되고 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3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값은 F8키를 눌러 나타나는 시작메뉴에서 적당한 값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BootMenuDelay: F8키를 눌렀을 때 어느 정도의 시간을 기다릴지 알려준다. 기본값은 30초로 되어 있다.
BootMulti: 기본값은 0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1로 지정할 경우 이전 버전의 도스로 부팅하는 것을 가능
하게 한다.
BootWarn: 기본값은 1로 지정되어 있는데 안전모드로 시작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BootWin: 기본값은 1로 지정되어 있는데 윈도우 98로 부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0으로 지정
되면 도스모드로 부팅될 뿐 윈도우 98이 시작되지 않는다.
Logo>: 기본값은 1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팅시 로고를 나타나게 한다.
DisableLog: 윈도우 부팅시 루트에 로그파일인 Bootlog.txt를 생성한다.
이것을 없앨려면 DisableLog=1을 추가시키면 된다.
AutoScan: 기본값은 1로 윈도우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스캔디스크를 작동하게 한다. 실제적
으로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해도 대부분의 경우는 아무 문제가 없을 때가 많다. 이 스캔디스크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려면 기본값을 0으로 하면 된다.
DoubleBuffer: 기본값은 1. 리얼도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값을 0으로 지정하여 부팅속도를 쬐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DblSpace=0, DrvSpace=0 등이 있다. 이는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드라이브를 완전히
초기화 상태에서 로드되는 일을 없애준다.
### 이런 값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부팅시 속도를 줄이고 여러 가지 세밀하게 지정할 수 있지만 잘못
하면 윈도우 98로 부팅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다음은 MSDOS.SYS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값들이다. 주의할 점은 MSDOS.SYS 파일은 읽기전용 파일이므로 읽기전용까지 제어되는 에디터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속성을 바꾸어 편집하고 나중에 원래의
속성으로 되돌려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WinDir:
UninstallDir:
HostWinBootDrv: 기본값은 'C'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트 드라이브가 어디인지를 지정한다.
WinBootDir: 기본값은 윈도우 98이 설치된 디렉토리로 지정되어 있으며 윈도우 98이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BootDelay: 윈도우 부팅시 윈도우 스타팅이 뜨면서 약간의 지연이 생기는 것으로 기본값은 2이며
부팅시 사용자가 키를 눌러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다리는 시간이다. 이 시간동안 F8이나 다른
키를 눌러 이전 버전의 도스나 안전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0으로 지정하면 지연없이 지나간다.
여기서 0이나 1 등은 초 단위를 나타낸다.
BootFailDaf: 기본값은 0이며 만약에 안전모드로 부팅해야 할 때 1로 세팅된다.
BootGUI: 기본값은 1이며 시스템이 그래픽모드로 부팅되는가를 나타냄.
BootKeys: 기본값은 1이며 부팅시 F4, F5, F8 등의 키를 사용해 모드를 설정하게 한다. 만약에 0이
세팅되면 BootDelay 옵션에서 설정한 값들이 무시되고 바로 부팅된다.
부팅시 F8키를 눌러도 모드선택 화면이 뜨질 않으면 이 키값을 1로 하던지, 부팅시 우측 Ctrl버튼을 누르
고 있으면 된다.(윈도우 98이상만 가능)
BootMenu: 기본값은 0이며 부팅시 메뉴를 띄우는 역할을 한다. 만약 1로 지정되어 있으면 자동적으로
부팅시 F8을 누른 효과를 가져온다.
BootMenuDefault: 기본값은 네트워크가 설정되어 있다면 4로 지정되고 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3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값은 F8키를 눌러 나타나는 시작메뉴에서 적당한 값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BootMenuDelay: F8키를 눌렀을 때 어느 정도의 시간을 기다릴지 알려준다. 기본값은 30초로 되어 있다.
BootMulti: 기본값은 0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1로 지정할 경우 이전 버전의 도스로 부팅하는 것을 가능
하게 한다.
BootWarn: 기본값은 1로 지정되어 있는데 안전모드로 시작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BootWin: 기본값은 1로 지정되어 있는데 윈도우 98로 부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0으로 지정
되면 도스모드로 부팅될 뿐 윈도우 98이 시작되지 않는다.
Logo>: 기본값은 1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팅시 로고를 나타나게 한다.
DisableLog: 윈도우 부팅시 루트에 로그파일인 Bootlog.txt를 생성한다.
이것을 없앨려면 DisableLog=1을 추가시키면 된다.
AutoScan: 기본값은 1로 윈도우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스캔디스크를 작동하게 한다. 실제적
으로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해도 대부분의 경우는 아무 문제가 없을 때가 많다. 이 스캔디스크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려면 기본값을 0으로 하면 된다.
DoubleBuffer: 기본값은 1. 리얼도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값을 0으로 지정하여 부팅속도를 쬐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DblSpace=0, DrvSpace=0 등이 있다. 이는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드라이브를 완전히
초기화 상태에서 로드되는 일을 없애준다.
### 이런 값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부팅시 속도를 줄이고 여러 가지 세밀하게 지정할 수 있지만 잘못
하면 윈도우 98로 부팅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반응형
'윈도우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 목적 공유 폴더의 문제점 (0) | 2007.08.01 |
---|---|
레지스트리최적화로 통신속도 증가시키기(ADSL이나 케이블모뎀의 경우) (0) | 2007.08.01 |
시스템 오류파일 만들기 (0) | 2007.08.01 |
실행명령어의 종류 (0) | 2007.08.01 |
윈도우 로고파일 바꾸기(98) (0) | 2007.08.01 |
도스 6.XX의 멀티부팅과 MEMMAKER (0) | 2007.08.01 |
바이러스 감염되었는지 확인 (0) | 2007.08.01 |
부팅이 안될때 (0) | 2007.08.01 |
윈도우 부팅 중에 다운 될 때 (0) | 2007.08.01 |
프로그램(시스템) 속도 느려짐 (0) | 200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