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WINFO(Hardware History Diagnostic Tool)

0. 이 유틸은 윈도우 폴더에 HWINFO.EXE라는 이름으로 들어 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스크린 상에 모습을

드러내는 일이 없다. 보이지 않게 동작했다가 사라지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검사를 마친 후에 HWINFO.DAT라는 이

진파일을 윈도우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0. -메뉴에서 HWINFO /UI(HWINFO 다음에 빈 칸을 한 칸 띄움)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치면 됨.

0. 복잡한 구조는 아니나 상당히 자세하게 시스템을 검사해 여러 가지 문제를 보고한다. 물론 문제가 없다면 보고사항도 없다.

0. 문제들은 흔히 읽어들인 레지스트리 파일 상에서 발생한 것이며, 간단히 리스트라고 보면 된다. 상당히 방대해서 많은

도움이 되며, 문제가 있는 장치에 대한 세부사항은 색깔별로 출력하기 때문에 알기 쉽다.

0. 녹 색: 레지스트리 등록사항

갈 색: 세부설정 관리자

자홍색: 파일 세부사항

청 색: 경고 메시지

적 색: 에러 메시지

IPconfig: 내가 사용하는 IP주소를 알 수 있다.

sysedit:

msconfig:

0. 일반(General):

0. Config.sys:

0. Autoexec.bat:

0. System.ini:

0. Win.ini:

0. 시작(Startup): 가장 기본적인 것은 레지스트리검사, Taskmonitor, Systemtray, LoadPowerProfile

LoadPowerProfile은 2개씩 뜨는데 윈도우의 시스템전원관리 옵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지워도 무관하다. internat

옵션은 보통의 PC에선 지워도 무관하다.



regedit: 레지스트리편집

scanreg: 레지스트리의 검색과 백업

winipcfg: 윈도우98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툴로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능을 보여주는 유틸리티. 모뎀만 설치되어

있으면 할당된 IP주소나 서브네트 마스크 등이 입력되어 있지 않지만 네트워크 카드가 설치된 컴퓨터라면 이런 값들이

모두 할당되어 있어야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어댑터 주소>: 네트워크 카드가 있는 경우는 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인 주소이다. 전화접속 어댑터의 경우는

하드웨어 코드로 의미가 없는 값이다.

<IP주소>: 실제 인터넷 주소다. 숫자로 되어 있으며 네임 서버 등에서 이름을 실제 인터넷 주소로 바꾸어 찾아가게

된다. 전화접속 어댑터의 경우 보통 지정되지 않음.

<서브네트 마스크>: 네트워크가 local인지 remote로 연결되어 있는지 나타냄. 일반적인 네트워크 카드의 경우는

255.255.255.192나 255.255.255.0을 많이 사용한다.

<기본 게이트웨이>: 로컬 서브넷이 연결된 실제 호스트의 IP주소를 적어준다. 일반적으로 IP주소의 맨 끝자리 만 1로

만든 값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DHCP 서버>: 한글 윈도우 NT 등이 설치된 컴퓨터의 경우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DHCP

서버의 IP주소를 적는다.

sfc: sfc는 system file checker의 약자이다.

잘못 바뀐 파일을 찾으려면 '변경된 파일 검색' 항목을 고른 다음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파일 검사기가

윈도우에서 이용하는 시스템 파일을 찾아 정상적으로 깔려 있는지 확인한다. 문제가 있는 파일은 알려준다.

모든 검사가 끝나면 모든 시스템 파일을 검색했다는 완료 메시지가 나온다. 버튼을 누른다. 좀더 자세한

결과를 보고 싶으면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이번 결과에서는 총 130개 폴더에서 1천569개의 파일을 검사했다.

전체적으로 시스템 파일에 문제가 없음을 볼 수 있다.

- - - - - - 를 실행한 것과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