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를 구별하는 방법
- 윈도우는 하드디스크를 구분하지만, 리눅스는 파티션을 구분하는 정도.
◎ 먼저 하드디스크가 IDE인지 SCSI인지에 따라 전자는 hd 후자는 sd로 표시
◎ 하드디스크 마더보드에 연결된 상태에 따라 : a, b, c, d
표현) 하드디스크 각각에 대해 hda/sda, hdb/sdb, hdc/sdc, hdd/sdd
◎ 하드디스크 파티션 순서에 따라 : 1, 2, 3, 4
다른 파티션 : 다음번호부터 5번부터 번호를 시작
만약, 프라이머리 마스터 하드디스크에 프라이머리 파티션 두개와 확장 파티션 아래에
논리 파티션 두개를 가진다면 다음과 같다.
☆ 위에서 /dev를 먼저표기하는 이유 :
하드디스크 장치가 /dev 디렉터리 아래 생성되기 때문.
하드드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ev를 분여서 경로까지 밝혀서 적어야 함.
ex)
- 물리적 하드
hda : 첫 번째 IDE 인터페이스의 마스터 하드디스크 (프라이머리 마스터 -a-)
hdb : 첫 번째 IDE 인터페이스의 슬레이브 하드디스크 (프라이머리 슬레이비 -b-)
hdc : 두 번째 IDE 인터페이스의 마스터 하드디스크 ( 세컨더리 마스터 -c-)
hdd : 두 번째 IDE 인터페이스의 슬레이브 하드디스크 (세컨더리 슬레이브 -d-)
- SISC 방식: sda, sdb, sdc ..
- 논리적 방식(한 개의 HDD를 2개로 분할한 경우)
hda1 : 첫 번째 하드디스크의 첫 번째 분할 영역
hda2 : 첫 번째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분할 영역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서버 보안을 위한 php.ini 설정팁 (0) | 2010.07.06 |
---|---|
Vi 에디터 사용법 (0) | 2007.08.21 |
리눅스 관련 사이트 (1) | 2007.06.18 |
리눅스의 부팅 순서 (0) | 2007.06.18 |
리눅스 바이러스 위험과 대책 (0) | 2007.06.18 |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 (0) | 2007.06.18 |
유닉스의 종류 (0) | 2007.06.18 |
[MYSQL] 신규유저 및 디비 생성 시키기 (0) | 2007.06.13 |
리눅스 대용량파일 분할 압축하기 (0) | 2007.06.13 |
[MYSQL] my.cnf 의 설정 변경을 통한 튜닝 (0) | 2007.06.13 |